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5)
(정리)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LG화학의 배터리 사업부 분사 0.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그것이 알고 싶다! 최근 LG화학의 배터리사업 분사 관련 소식으로 세간이 떠들썩하다. ‘LG에너지솔루션’이라는 명칭으로 회사를 물적분할 한다고 한다. 그런데, 인적분할이 아닌 물적분할을 하기 때문에, 이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대체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은 뭐고 왜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것인지 호기심이 생겼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최대한 알기 쉽게 인적분할 및 물적분할의 개념, 그리고 주가하락 요인 등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인적분할이란? : 인적분할에 앞서, 우선 분할이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회사를 쪼갠다는 것이다. 회사를 관리하고 경영하는 데에 있어 더 더욱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회사를 쪼개는 것이다. 인적분할이란, 회사를 쪼갤 때 ‘수평적’으로..
결국 중요한건 수비, 절약의 중요성 1. 자본 소득으로 한 달에 10만원 더 벌기 vs 10만원 덜 쓰기 이전 포스팅에서 경제적 자유를 위한 올해의 작은 목표는 '한 달 자본 소득 $100 달성'이라고 말한 바 있다. 수단은 바로 미국 배당주다. 배당율을 대략 5%로 잡으면, 한달에 배당금 $100을 받기 까지 필요한 목든은 $24,000이다. 현재 환율이 조금 높아서 얼추 1,100으로만 계산해도 대략 2,600만원이 넘는 금액이다. 2,600만원이라니, 갓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람으로선 모으긴 쉽지 않은 금액이다. 연봉이 4,000이라고 해도 50%를 저축하면 2,000만원이다. 최종 목표는 한 달에 300만원을 자본소득으로 버는 것인데, 역시 자유에 이르는 길은 고되다. 무노동으로 한 달에 12만원 벌기도 이렇게 힘들다. 심지어, 아직..
[경제적 자유] 미국 배당주에 투자를 시작하다 1. 당신이 잠들 때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하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와 노동자를 가르는 것은 '생산 수단'을 소유했는지의 여부다. 일찍히 워렌 버핏은 당신이 잠들 때에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평생 일해야 할 것이라는 명언을 남긴 바 있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번다고 해도, 그것이 내가 노동을 해야 들어오는 돈이라면 평생 노동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잠을 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인가? 가장 대표적인 예로 , 1)부동산 월세가 있다. 특별한 노동을 하지 않아도 매달 꼬박꼬박 들어오는 월세(실패한 투자가 아니라면)는 실제로도 많은 이들이 선망하는 자본 소득 중 하나이다. 또, 한가지의 예로 2)주..
경제적 자유의 기준 얼마쯤 자산을 보유해야 경제적으로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까? 자산을 많이 갖고 있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더욱 중요한건 얼만큼 욕심을 버리느냐이다. 나는 경제적 자유를 통해 하고싶은 것보다도 하고 싶지 않은 것이 더 많다. 일주일에 5일을 회사에서 지내며 살고 싶지 않고, 일어나기 싫은 아침에 괴로워하며 일어나고 싶지 않다. 사내 정치에 휘둘려서 억울한 일을 당하고 싶지 않고, 살얼음을 걷는 듯한 긴장 속에서 일하고 싶지도 않다. 그래서 내가 생각하기엔 자본 소득 '월 300만원'이라면 충분히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중견~대기업의 사원급 월급을 일하지 않고 받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추가로 아무일도 하지 않아도, '먹고사니즘', 즉 생존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테니 말이다. 물론 자본..
나는 앞으로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길을 갈 것이다. 1. '인생은 고통이다' 지금까지 나름 긍정적으로 즐겁게 살아왔다. 딱히 불행한 적이 있었나? 되돌아보면 취업 준비할 때 너무 안풀려서 불행했던 것 같다. 대학생활, 군대, 그 이후로도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일들이 짜잘하게 있었지만, 큰 맥락에선 행복한 삶이었다. 그런데 회사를 다니면서 내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었다. '입사'는 지금까지 내 인생 통틀어서 나의 가치관을 가장 많이 바꾼 이벤트다. 장밋빛으로 가득했던 삶이, 취업을 하자 현실의 시멘트 벽으로 가득 차버린 느낌이다.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인간 관계, 언제 져야할지 모르는 업무 상의 책임, 그리고 이제 내가 벌어 내가 먹고 산다는 중압감. 그리고 가장 큰 것은 이 일을 적어도 몇십년간은 반복해야한다는 암담함. 대략 반년 전, 많은 업무량, 그리..